세부담을 최소화하며, 자녀에게 새로 취득한 부동산을 주는 방법 > 세무이슈

세무이슈

세무회계뉴스

세부담을 최소화하며, 자녀에게 새로 취득한 부동산을 주는 방법

작성자관리자

  • 등록일 24-12-02
  • 조회49회
  • 이름관리자

본문

자녀에게 부동산을 증여할 때 세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신중한 계획과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합니다. 다음은 세부담을 줄이면서 부동산을 이전하는 주요 전략들입니다.

1. 증여세 공제 한도 활용

  • 증여세 공제 한도: 직계존비속 간 증여 시, 성인은 10년 동안 5,000만 원, 미성년자는 10년 동안 2,000만 원까지 세금이 면제됩니다.
  • 예를 들어, 자녀가 미성년자라면 2,000만 원 이하의 자산을 10년 간격으로 나눠 증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
2. 부동산 지분 나누기

  • 한꺼번에 전체 부동산을 증여하면 과세 표준이 높아집니다. 대신 부동산 지분을 나누어 증여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  • 예: 50% 지분을 먼저 증여하고, 나머지를 10년 뒤 증여.

3. 감정가를 통한 낮은 평가액 활용

  • 증여세는 공시지가나 감정평가액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감정평가를 받아 낮은 시가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경우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.
  • 부동산 시세가 공시지가보다 낮게 평가될 가능성이 있을 때 활용.

4. 부동산 임대 소득 이용

  • 자녀가 성년이라면,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임대 소득을 자녀 계좌로 이체해 간접적으로 경제적 지원을 하면서 소득 이전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
  • 자녀가 수익을 자산으로 축적해 차후 부동산 매입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
5. 가업 상속 공제 또는 상속세 활용

  • 부동산을 자녀에게 생전에 증여하지 않고 상속으로 이전하면 상속세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상속세가 증여세보다 유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가업 상속 공제: 가업을 승계하는 경우 최대 100억 원까지 공제 가능 (요건 충족 필요).

6. 부동산 신탁 활용

  • 자산 신탁을 활용해 자녀에게 간접적으로 부동산을 이전하거나, 관리 및 소유권을 분리해 세금 최적화와 보호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습니다.

7. 전문가 상담 및 계획 수립

  • 세법은 복잡하고 개정이 빈번하기 때문에 세무사, 변호사, 또는 재무 설계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특히 대규모 자산의 경우, 절세를 위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합니다.

이와 같은 방법들을 활용하면 세금을 줄이면서도 법적으로 안전하게 자산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. 어떤 방법이 가장 적합한지는 부동산 가치, 자녀의 나이, 기타 자산 현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전문가와 상담을 권장드립니다.


전화상담전화상담 상담요청상담요청
세무법인비즈택스
서울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1동 802호
Tel : 02)6248-2278 FAX : 0508-118-1508
ⓒ 세무법인비즈택스 All rights reserved.
ADMIN MAKE24